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불교조각1] 석가모니와 불상의 출현
항샘
2010. 7. 17. 09:07
[불교조각1] 석가모니와 불상의 출현
조각이란? 3차원의 공간성을 가진 입체적인 형태의 예술 작품으로서
크게 일반 조각과 불교조각으로 나눌 수 있다. 돋을 새김(浮彫)와 둥군
새김(丸彫) 등이 있고 재료로는 흙,돌,나무,구리, 철 등이 사용 된다.
佛敎 彫刻
불교조각은 주로 예배의 대상이 되는 불타를 포함,보살,명왕,천부,나한
등의 모든 상을 말한다. 불교조각은 인도에서 석가모니를 조형적인 형
상으로 표현한 부처상에서 출발 한 것으로 소승불교에서는 오직 석가
상에만 제한 되었으나 대승불교 시대에는 아미타불,미륵불,약사불,대일
여래,비로자나불등을비롯하여 관음보살,대세지보살 등 많은 보살상이
만들어졌고, 그 후는 밀교가 유행하면서 명왕상및 천부상이 첨가되었
다.
1. 釋迦牟尼의 生涯와 佛像의 出現
석가모니는 지금부터 약 2,500년전 인도 동북부지방 샤카족의 왕자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고타마 싯다르타 였다. 불상이 출현하기 전 마
투라 지방에서는 부처님 생애의 여러 장면이 부조로 나타나는데 스투
파(탑파)의 문과 난간에 산개,좌석,발자욱, 보리수 등으로 석가모니가
계신 곳을 상징 하였다.
서기 1세기경에 서방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이 부처의 神像 표현에 자
극을 주어 비로소 불상이 출현하게 된다.
⑴ 불상의 출현과 樣式의 變化
간다라 불상: 희랍,로마인의 모습
머리카락은 곱슬, 이목구비 유럽인 모습,
눈을 반쯤 감고 아래를 처다봄, 우울한 표정
성격이 유약하여 우울 할때 많고 늘깊은 사유
대의는 통견의,신체가 두터운 옷에 가려짐. 옷주름 사
실적
대의의 옷주름 표현에 주력
인간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
마투라 불상: 인도인의 모습
머리는 민머리, 큰 우렁상투, 인도인의 모습
눈을 활짝 뜨고 자신감있는 미소
깨달음을 맛보는 희열 활달한 생명감 넘침
편단우견, 얇은 옷에 밀착 나신의 느낌, 건강하고 팽만
감 있음
신체의 표현에 힘씀
인간의 모습을 이상적으로 표현
이 두양식이 과도기를 거쳐 굽타시대4-5세기 두 양식이 조화를 이
루는 이상적인 불상 양식이 탄생하게 된다. 굽타불상의 특징은 이목
구비는 마투라양식이지만 머리카락은 두지역이 결합하여 나발형식이
형성된다. 이것이 한국,중국의 불상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⑵ 小乘불교와 大乘불교
석가모니가 살았던 시대로부터 열반후 100년까지를 원시불교 또는
근본불교라고 하며 그후 기원전 1세기까지를 부파 불교라고 하여 교
단이 분열 불교가 형식적이고 사변적인 경향으로 흐르게 되었는데
이를 소승블교라고 한다.
소승불교는 자기만의 해탈에 만족하는 것으로 출가 교단에 의해 형
성되지만 대승불교는 모든 중생의 구원을 목표로 在家信徒에 의해 형
성된다.
소승에서의 이상상은 아라한이며 예배의 대상은 석가모니 한분과 과
거 여섯불과 석가불,미래불인 미륵불 있을 뿐이다.
대승에서는 理陀行의 실천을 강조하고 서원을 실천하는 보살의 개
념이 등장 많은 보살이 출현함. 그러므로 예배의 대상으로 조각상이
만들어 지게 된 것은 대승불교의 흥기와 무척 관계가 깊다.
⑶ 삼신불(三身佛)
대승불교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법신불, 보신불, 응신불을 말하다.
① 法身佛: 진리 자체를 의미함. 진리는 보편성을 띈다. 그러므로
법신불은 그 형체를 지닐 수가 없으나 8세기에 지권인과
결합한 불상(비로자나불)로 형상화 되어 예배의 대상이
된다.
② 報身佛: 보살이었을 때 중생을 위해 서원을 발하여 부처가 되리
라는 수기를 받고 그 결과로 정각을 이룬 부처로 아미타
불이 이에 속한다.
③ 應身佛: 인간의 요구에 의해 태어나 중생을 구원하는 부처로 화
신불이라고도 하며 석가불이 이에 해당된다.
***** 參考 文獻 *****
1. 韓國 美術 文化의 理解 金元龍監修 (株)藝耕 1995
2. 韓國 佛敎 彫刻의 흐름 강우방 대원사 1995
3. 佛像(빛깔 있는 책 40) 秦弘燮 대원사 1994
4. 佛畵(빛깔 있는 책 50) 홍윤식 대원사 1994
5. 사찰 그 속에 깃든 의미 김현준 교보문고 1994
출처 : 나의 문화유산 답사
글쓴이 : 우일신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