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한국 호랑이의 최후, 한국의 육식동물 어떻게 멸종됐나
항샘
2010. 7. 11. 19:04
- 한국 호랑이의 최후, 한국의 육식동물 어떻게 멸종됐나
-
한반도에서 호랑이가 살기 시작한 것은 약 3만년 전. 인류가 문명을 건설하기 한참전이다. 현재 호랑이는 8가지의 무리로 구분되고 있다. 인도(뱅갈)호랑이, 중국(화남) 호랑이, 수마트라 호랑이, 인도차이나 호랑이 , 카스피 호랑이, 자바 호랑이, 발리 호랑이, 시베리아 호랑이. (발리 호랑이, 카스피 호랑이, 자바 호랑이는 최근 50년간 멸종된 것으로 확인됨.) 한반도에 서식하던 호랑이는 시베리아 호랑이의 한 부류인 동북아 호랑이, 학명으로 Panthera tigris altaica로 불린다. 호랑이 종류 중 가장 크고 웅장한 시베리아 호랑이는 러시아의 동북면, 만주, 백두산 일대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랑이와 표범은 대륙성 육식동물로 이미 3만년전부터 한반도의 남쪽에서 시베리아 지방을 장악하며 동북면 일대 최강의 포식자로 군림해 왔다. 원래 한반도는 호랑이와 표범이 서식하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고 있었다. 드넓은 산악 지역에 엄청난 수의 초식동물 군,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 분포 등으로 20세기 초까지 한반도에는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만큼 많은 수의 범들이 살고 있었다. 조선조엔 호랑이가 서울 4대문 안에서 수도 없이 많이 목격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심지어 궁안에서 호랑이가 발견됐다는 기록이 실록에 남아 있다.
창덕궁 후원...
출처 : Daum 지식
글쓴이 : ▷바람◁님 원글보기
메모 :